그룹 멘토링
-
공통
- 블로그 작성(새로 배운 내용이나 트러블 슈팅에 대한 부분, 지금까지 배워온 내용들을 정리해보면 좋음)
- 블로그에 깃허브 링크를 같이 걸어주면 좋음
- https 적용하면서 공부해보는 것도 추천
-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공부하고 적용해보는 식으로 공부해보면 더 재밌게 할 수 있을 것
- 센트리를 사용하면 버그나 예외사항에 대한 확인이 쉬움(프론트엔드 에러 로그 시스템/ 에어 트래킹 시스템)
-
Front-end
- 새로운 기능들 도전해보는건 어떨지? 친구추가나 실시간 채팅 같은 기능
-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의 피드나 타임라인 같은 부분을 추가해보는건 어떨지?
- 프론트엔드는 ‘개츠비 블로그’(리액트를 사용해 개인 블로그를 만드는 것)를 만들어 보는 것이 좋은 포트폴리오가 될 수 있음
- CICD를 적용해보고 공부해보는 것도 좋음(어떤 툴을 사용해서 구현하는지 보다는 실제 구동하는 방식이나 어떻게 동작하는지의 개념이나 사용하는 이유와 장단점 등에 집중하는게 좋음 - 현업에서는 회사마다 선호하는 방식이나 툴이 다르기 때문에)
- 디자인 패턴에 대해서 공부해보면 좋음
- 로컬, 세션, 쿠키의 차이점이나 장단점에 대해서 명확히 알면 앞으로 도움이 될 것 같음
-
Back-end
- 개츠비도 좋지만, 벨로그나 티스토리 같은 플랫폼에서 블로그의 css나 외적인 부분보다는 내용에 집중한 블로그를 추천
- 인프라에 대해서 공부해보는 것을 추천
- 현재 주어진 상황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최선의 방법을 찾아보고 해결을 위한 노력을 충분히 한 이후에 새로운 방안을 도입해보는 것이 좋음(ex. 엘라스틱 캐시)
- 질문)해쉬맵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잠재적인 위험성? 어떤 이야기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건...